본문 바로가기

기록/새싹x코딩온

[새싹x코딩온] 웹 퍼블리싱 과정 12주차 - 1 | React - state

state

state란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특정 변수이다.

state, 즉 변수의 상태가 변경되면 해당 컴포넌트는 재런더링된다. → 유동성 관리가 쉽다.

 

함수형 컴포넌트 useState

useState를 import 시키고 사용한다.

state의 값은 useState만을 이용해서 변경할 수 있다.

 

버튼을 클릭하면 apple, 사과가 번갈아서 출력되는 코드

FunctionState.jsx

import {useState} from 'react'

export default function FunctionState(){

  const [showEnglish, setShowEnglish] = useState(true);

  return(
    <div>
      <div>{showEnglish ? 'apple' : '사과'}</div>
      <button onClick={()=>setShowEnglish(!showEnglish)}>
        {showEnglish ? '한글' : '영어'}로 변경
      </button>
    </div>
  )

 

App.js

import FunctionState from './components/FunctionState'

function App() {
  return(
  <>
    <FunctionState></FunctionState>
  </>
  )
}

export default App;

 

출력

 

클래스형 컴포넌트 state

React가 제공하는 Component라는 클래스를 상속 받아서 사용한다.

리액트 초반에는 함수형에서 리액트의 핵심인 state를 사용하지 못했는데

현재 hooks를 통해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.

→ 클래스형과 함수형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작성이 간단하고 쉬운 함수형 사용을 권장한다.